본문 바로가기
공부와강의

독학으로 유튜버되는법 어도비프리미어프로 동영상편집 새 프로젝트 생성하기

by 엘로이ELOY 2021. 1. 2.
반응형

안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새해 목표는 다 세우셨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월급외에 추가 수입을 만드는 것에 굉장히 관심이 많아서 이것저것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그 중 하나가 꾸준히 블로그 쓰는것과 영상편집을 배우는 건데요 영상편집을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하려고 하니깐 막막하더라구요 그래서 공부하면서 알게된 내용이나 팁들을 블로그에 같이 차근차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나중에 기억 안날때 저도 참고도 할겸요ㅎㅎ

요즘 무료로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많지만 저는 어도비 프리미어프로로 공부/편집을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들이 어도비 프리미어프로를 많이 닮아 있기때문에 이 포스팅을 보시면 무료 동영상 프로그램으로 편집을 하셔도 조금은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저도 공부를 하면서 하는 포스팅이라 정확하거나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는데 그런 부분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수정을 하겠습니다^.^


새 프로젝트를 클릭!

우선 어도비 프리미어프로를 실행하면 이렇게 대책 없게 창이 뜹니다. 도대체 여기서 어떻게 영상편집을 하라는 것인가! 저도 처음부터 막막하더라구요 우선 새 프로젝트라는 것을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딱 드시죠?


 

새프로젝트-일반

새 프로젝트를 클릭하면 이러한 창이 하나 뜹니다. "왜 영상편집 안되는거야?" 라고 놀라지 마세요 영상편집전 설정을 해야되는 부분이라서 어떻게 설정해야되는지 알려드릴게요 그전에 이 창에 있는 용어와 기능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① 비디오 렌더링 및 재생

지금은 화려한 효과를 넣으면서 편집하는게 힘들지만 나중에는 화려한 효과로 편집을 할때가 있을 것이다. 영상 편집을 하면서 효과를 적용시키면 적용 즉시 재생이 가능하며 결과를 즉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을 리얼-타임 플레이백 이라고 하는데 어도비 프리미어프로의 프로그램은 리얼-타임 플레이백으로 영상 제작이 가능하다. 이 재생엔진을 Mercury 재생 엔진으로 부르는 것 같다.

 

영상에 효과를 적용시킨을 영상을 추출하지 않고 바로 확인을 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기때문에 매우 편리한 기능이다. 그래서 컴퓨터가 영상편집에 최적화되면(그래픽 카드의 성능유무) 작업할 수 있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지만 제 컴퓨터는 선택이 불가하다.


② 비디오 - 표시형식

영상 편집 작업을 할때 어떤식으로 표시를 할지 선택을 하는 것인데 보통 영상이 1초당 30프레이다. 이 말은 1초 영상에 30장의 사진이 찍힌다는 것인데 프레임이 낮아질수록 조금은 투박한 느낌의 영상이 표현된다. 각 목적마다 맞는 표시 형식을 선택하면 된다.

②-ⓐ 시간코드 : 가장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쓰는 설정이다.

②-ⓑ 피트 + 프레임 16mm/35mm : 필름으로 된 영상을 작업할때 필름 길이의 기준을 선택하는 것이다. 필름에는 16mm와 35mm가 있는 것 같다.

②-ⓒ 프레임 : 0부터 시작해서 프레임 수를 세는 것이라고 한다. 애니메이션에서 많이 선호한다고 한다.


③ 오디오 - 표시형식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때 샘플이나 밀리초를 선택할 수 있다.

③-ⓐ 오디오 샘플 : 보통 마이크나 촬영용 카메라에서 영상을 찍으면 오디오가 녹음되는데 이 때 초당 수천번 이상씩 기록된다. 샘플 모드는 시,분,초로 오디오의 시간을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쓴다.

③-ⓑ 밀리초 : 밀리초를 선택하면 천분의 일초까지 오디오를 표시한다. 더욱 미세한 오디오 조정을 할 수 있다.


④ 캡쳐 형식

작업을 한 영상을 컴퓨터로 저장할때 사용하는데 촬영 카메라의 캡쳐형식에 따라 맞는 형식을 써야한다. 카메라가 DV형식인지, HDV인지 확인하고 설정을 바꿔줘야 한다.

DV와 HDV의 차이가 뭔지 다른 분들의 글을 보고 내가 이해하고 설명을 쉽게 쓰려고 해도 도통 어려운 말이다. 비전공자의 한계인가... 그래도 나는 계속 공부할 것이다!(갑자기 포부) 어떤 글에서는 고화질 영상으로 저장하고 싶으면 HDV로 선택을 하라고 하는데 기본 설정인 DV로 영상을 작업해도 나는 차이를 잘 모르겠다. 차이가 없다는건 DV를 선택해도 화질이 드라마틱하게 나빠지지 않다는 뜻이다. 참고로 화질은 DV<HDV<HD 순으로 좋아진다.


 

새 프로젝트-스크래치 디스크

스크래치 디스크는 프리미어프로에서 작업한 영상 파일이 저장되는 곳이다. 그런데 프리미어프로에서는 비디오, 오디오 등을 별로의 디스크나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작업을 하는 공간과 결과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따로 사용해서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① 캡쳐된 비디오, ② 캡쳐된 오디오, ③ 비디오 미리 보기, ④ 오디오 미리 보기

는 모두 같은 선택을 할 수 있다. 문서, 프로젝트와 동일, [사용자 정의] 세 옵션이 있다.

 

ⓐ 문서 : 이 설정은 거의 사용해보지 않았지만 아마도 컴퓨터 내의 '내문서' 폴더에 저장이 되는거 아닐까 생각된다.

ⓑ 프로젝트와 동일 : 내가 사용하는 설정이다. 작업하는 모든 파일과 프로젝트 파일을 한번에 저장한다. 우선 파일들을 찾기쉽고, 작업이 끝나면 삭제하기도 쉽다. 한번에 날리면 되니깐!

ⓒ [사용자 정의] : 작업자 마다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이 다르고, 작업환경 마다 저장공간과 기기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 설정해서 저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SSD 와 HDD로 컴퓨터의 저장공간은 나뉘는데 속도와 환경에 맞게 설정하여 사용하면 된다.


어도비 프리미어프로를 처음 딱 켰을때 나오는 팝업창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솔직히 나와 같이 비전공자에게는 어렵고 생소한 단어들이 즐비한 프로그램이고 어떤것을 눌러야 되는지 모른다. 이 포스팅이 프리미어프로를 처음 접하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한다. 나도 나중에 두고두고 보려고 조금 자세히 쓴 것도 있다.

반응형

댓글